성도의 삶은 그리스도 안에 근거해야 합니다(46장 묵상).
야곱은 그토록 사랑하였던 요셉이 애굽 총리가 되어 살아있다는 말을 듣었지만 그는 먼저 브엘세바에 가서 희생을 하나님께 드립니다. 거기서 하나님의 보내심을 받고서 애굽으로 내려갔습니다.
브엘세바는 어떤 곳이었을까요? 아브라함은 땅을 한 평도 갖지도 못했지만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우물을 팠던 곳입니다. 그곳에서 에셀나무를 심고, 영생하시는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던 곳입니다(21:33).
우물을 판다는 것은 정착한다는 뜻입니다. 수명이 길고 단단한 에셀나무를 나무를 심은 이유는 하나님과 언약의 견고함을 나타내며, 하나님의 이름을 불렀다는 것은 그분께 예배를 드렸다는 말입니다.
우물이 정착의 의지의 표현이라면, 나무를 심는 것은 주인이 누구인지를 보이는 경계의 표시입니다. 곧 브엘세바는 영생하시는 하나님이 통치하시는 땅이라는 것을 나타낸 것입니다. 그래서 그곳에 거했습니다.
브엘세바는 아브라함이 이삭을 드렸다가 되돌려 받은 곳이며 모리아에서 돌아와 대대로 거주한 곳이었습니다(창22:19). 그리고 하나님은 이삭과 야곱에게 언약을 바로 이곳에서 재확인시켜 주셨습니다.
브엘세바는 이삭에게 생명력을 공급하였고 야곱에게 행동반경을 결정하였으며 이스마엘을 내쫒은 삶의 방식을 선택한 곳입니다. 곧 하나님께서 보증하신 곳입니다. 브엘세바는 ‘맹세의 우물’이었습니다.
대적조차 굴복하고 참된 예배를 드려 대속의 은혜가 나타난 곳이며, 영생하시는 하나님을 대면하고 예배하던 곳은 다름아닌 그리스도 안입니다. 그래서 그곳을 믿음의 선진들이 고수하였던 것입니다.
이와같이 우리도 하나님께서 아들의 피를 통해 맹세하시고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주신 언약이 보증하시는 안전지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우리가 삶에서 힘을 얻고 거룩한 삶을 살 수 있게 하시는 곳을 말합니다.
다만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섭리에 의해 그곳에 온전히 정착하기 위해서 잠시 애굽으로 내려가야 했던 것입니다. 다만 요셉이 요구하라고 한 고센 땅은 ‘높은 언덕’이란 뜻으로 자기 백성을 세상과 구별하시기 위해 예비된 처소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