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수의 근원을 확보하는 것은 영적싸움의 관건입니다(26장 묵상)
이삭은 고향 땅에 흉년이 들자 그랄의 블레셋 왕 아비멜렉에게 갔고 애굽으로 가려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삭에게 나타나셔서 아브라함에게 맹세한 것을 그 땅에서 이루시겠다고하시며 그를 말리셨습니다.
이삭은 말씀에 순종하여 애굽으로 가지 않고 그랄에서 이삭은 농사를 지었는데 그 해에만 백 배의 소출을 거두었습니다. 그런데 이삭이 강성해지자 그래서 블레셋 사람들이 시기하여 그 우물을 메우고 이삭에게 떠나라고 요구했습니다.
우물은 근동지방에서는 생존의 근거였습니다. 대적은 양들을 뺏기보다 생명의 근원으로부터 분리시키려고 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이삭은 맞서지 않고 그 곳을 떠나 다시 자기 아버지 아브라함이 팠던 우물을 다시 팠습니다.
이 우물은 아브라함이 죽었을 때 블레셋 사람들이 메웠던 우물입니다. 이삭은 아비의 복을 이어받은 믿음의 유산으로 인해 대적이 시기할 만큼 복을 얻었던 것입니다. 가정과 교회에도 이런 영적유산이 잘 이어져야 합니다.
그 후에 이삭의 종들은 그랄 평원에서 새로 우물을 얻었지만 대적들이 다투자 그곳을 '에섹,' 곧 '다툼의 우물'이라고 불렀습니다. 자리를 옮겨 네 번째 우물에 대해서도 다투자 '싯나,' 즉 '대적의 우물'이라고 불렀습니다.
다시 거기서 옮겨 다섯 번째 우물을 파자 그 때부터 아무도 다투지 않자 ‘르호봇’이라 불렀습니다. 그 후 이삭은 브엘세바로 올라가서 우물보다 먼저 하나님께 제단을 쌓았습니다. 삶의 우선순위가 바뀐 것입니다.
그 날 밤 하나님께서 이삭에게 나타나셔서 약속을 확증하셨습니다. 그러자 블레셋 왕과 방백이 찾아와 평화조약을 맺자고 간청하였습니다. 그들에게 이삭과 함께 하는 하나님이 두렵게 여겨졌기 때문에 화친을 청한 것입니다.
그들이 화친을 구한 시점은 이삭이 창대할 때가 아니라 자기들이 보인 적개심에 대해 이삭이 보인 반응 때문이었습니다. 대적하지 않고 브엘세바에서 하나님을 먼저 예배하는 지점에 이르자 오히려 굴복을 한 것입니다.
그 날에 이삭의 종들이 일곱 번 째 우물을 얻자 그 이름을 세바(일곱)라 불렀습니다. 이와같이 성도가 하나님의 눈으로 상황을 받아들이고 먼저 예배하자 사단이 굴복했다는 점은 순례길에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